카테고리 없음
[UML] 클래스 다이어그램
좨랭이
2021. 11. 6. 10:44
클래스 다이어그램
- 정적(구조) 다이어그램으로 UML모델링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
- 시스템의 구조와 구조 간 상호 관계를 나타내며
- 시스템의 논리적 및 물리적 구성요소 설계 시 주로 활용
ex) 클래스의 표현

- 속성은 자바에서 field변수 또는 멤버변수, 연산은 자바에서 method로 생각하면 된다.
- 밑줄은 static을 뜻함
- 변수명이 대문자 -> 상수 (final)
- 기울임 표시 추상메소드
접근제한자
기호 | 예약어 | 적용범위 |
+ | public | 전체 |
# | protected | 같은 패키지 + 상속 관계 |
~ | default | 같은 패키지 |
- | private | 같은 클래스 |
클래스 다이어그램 표기 방법
표현법 | 적용 범위 | 예약어 |
attribute / method (밑줄) | 속성, 연산 | static |
FIELD (대문자) | 속성 | final |
Class / method (기울임) | 클래스 명, 연산 | abstract |
StarUML 실습
클래스 다이어그램작성 후 자바코드로 변환
1. 클래스 다이어그램 작성







추상메소드를 가지면 클래스는 무조건 추상 클래스

1. PI 상수형(static) : Detail -> OwnerScope -> CLASSIFIER
2. PI final : Detail ->Changeability -> FROZEN
3. goToScholl 추상메소드 : General -> IsAbstract 체크
4. Student클래스 추상메소드 : General -> IsAbstract 체크 (추상메소드를 포함한 클래스는 반드시 추상클래스이다.)
5. Tools -> java -> Generate Code => 코드 생성
일반화 관계/실체화 관계
클래스 다이어그램의 관계
합성관계, 집합관계는 거의 쓰이지 않음
일반화/실체화관계 상속관계를 나타냄
일반화관계 실체화관계 실습






